🎯 멀티체인 RWA 전략: Arbitrum vs Sei
① 프로젝트 포지션
- @Theo_Network: 개인 투자자용 미국 국채 토큰화 (thBILL)
- @KAIO_xyz: 기관 투자자용 헤지펀드 토큰화
② 체인 인프라
- Theo → Arbitrum 기반
• 유동성 중심 생태계
• Morpho Labs 연동: $83M 공급
• DeFi 네이티브 참여 구조
- KAIO → Sei AppChain
• 1초 결제, 초당 22K TX
• 기관 트레이딩용 초저지연 구조
• KYC 기반 펀드 접근
③ 핵심 차별점
- 접근성: Theo(무허가) vs KAIO(규제·기관형)
- 목적: 유동성 확장 vs 안정적 운용 인프라
- 투자 단위: 개인 소액 vs 기관 펀드 단위
④ 협업 및 확장 포인트
- LayerZero 옴니체인 연결 → 유동성 통합 가능
- KaitoAI 리더보드 내 캠페인 협업
- thBILL 담보 활용 vs KAIO 펀드 파생교차
⑤ 키 인사이트
"RWA 2.0 = 개인과 기관의 유동성 통합"
Theo가 유동성을, KAIO가 신뢰 인프라를 담당하며
온체인 자본의 전 범위가 연결되는 시대로 진입 중

1.57K
32
The content on this page is provided by third parties. Unless otherwise stated, OKX is not the author of the cited article(s) and does not claim any copyright in the materials. The content is provided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does not represent the views of OKX. It is not intended to be an endorsement of any kind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investment advice or a solicitation to buy or sell digital assets. To the extent generative AI is utilized to provide summaries or other information, such AI generated content may be inaccurate or inconsistent. Please read the linked article for more details and information. OKX is not responsible for content hosted on third party sites. Digital asset holdings, including stablecoins and NFTs, involve a high degree of risk and can fluctuate greatly. You should carefully consider whether trading or holding digital assets is suitable for you in light of your financial condition.

